분류 전체보기 1401

백의종군길 4코스 (구운초등학교 ~ 용주사)

추위가 물러갔기에 백의종군길을 걸으려고 화서역에서 내려서 5번 출구로 나와 서호체육센터 방면으로 걸었다. 화산교를 건너 구운초등학교 방향으로 접어들어 백의종군길 리본을 따라 구운초교를 100M정도 지나 GS25 편의점 안으로 들어가 구석에 있는 스탬프를 찍고 밖으로 나와서 도로를 따라 걸어서 웃거리사거리에서 지하도를 이용 사거리를 횡단하여 계속 직진했다. 좁은 인도를 따라 걸어서 경기상상캠퍼스를 지나고 수원시민농장도 지나 서울대학교 수목원길로 들어섰다. 수목원길을 벗어나 유통센터를 지나 복잡한 동네 길을 벗어나 매송고색로를 가로 질러 조용한 마을길을 걸었다. 고현초등학교를 지나고 고색동민속줄다리기 자료가 보관되어있는 ‘중보들공원’을 지나 서호천변으로 들어섰다. 서호천을 따라 내려가다가 예비군훈련장 입구 ..

백의종군길 2021.02.19

남파랑길 87코스 (청해포구 촬영장 입구 ~ 완도항 해조류센터)

저녁부터 비가 내린다는 일기예보 속에 찌푸린 하늘을 바라보며 도착한 청해포구 촬영장 입구에서 하차 87코스 따라가기 앱을 따라 걸었다. 나지막한 산 아래에 조성된 도로를 따라 걸어가다가 농로로 접어들어 걸으니 완도호 주변 도로를 따라 걷게 되었다. 호수가에는 많은 사람들이 낚시를 즐겼고 우리는 재방을 걸어서 완도호를 벗어났다. 동백나무가 꽃망울을 붉게 터트리는 거리를 지나 마을로 접어들어 걸어가는데 저녁 때부터 내린다던 비가 한방울씩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금새 땅바닥이 촉촉이 젖어가고 있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지역에 도달하니 해안가에는 둥그런 돌들이 펼쳐져 있었고 안내판에서 표시된 섬들은 안개 속에 묻혔으며 빗방울은 점점 더 굵어져가고 있는 가운데 몽돌해변을 뒤로하며 산길로 접어들었다. 빗속에 온 길을 뒤..

남파랑길 2021.02.15

남파랑길 6코스 (송정공원 ~ 제덕사거리)

창원시 진해구로 접어들었다. 6코스 표식을 찾을 수 없어 길을 걸으며 수로왕에 대한 전설이 있는 망산도·유주암을 지나 용원어시장으로 들어서니 수족관에는 졸복들이 가득했고 어시장을 벗어나 용원교를 건넜다. 뚝길을 걷다가 벗어나서 웅천안골왜성을 지나 보행자 전용도로를 넘어가 황포돗대노래비 이정표를 따라 걸었다. 안청공원을 지났고 안성마을도 지났다. 진철교를 지나 걸으니 남파랑길 6코스 안내판이 있었고 영길마을회관을 지나 해안을 걸으니 건너편 지나온 거리 모습이 보였고 황포돗대 노래비에 도착했다. 노래비를 지나 걷다가 흰돌메공원을 경유해서 흰돌메길 이정표를 따라 걸어서 주기철목사 기념관으로 향했다. 걸어서 항일독립운동가인 주기철목사 기념관에 도착했다. 기념관 옆에 있는 웅천읍성을 돌아보고 마을길을 벗어나서 진..

남파랑길 2021.02.13

남파랑길 5코스 (신평동교차로 ~ 송정공원)

남파랑길 부산 마지막 코스를 걸으려고 새벽 5시 신평교차로에서 하차하니 어둠 속에 차가운 강바람이 불어왔고 을숙도대교 야경만 어둠을 밝히고 있었다. 남파랑길 5코스 시작점에서 출발하여 가로등이 밝혀주는 산책로를 따라 강바람을 맞으며 하구둑을 향해 걸었다. 하구둑에 오르니 사자상과 새벽 낚시꾼을 지나 지나온 산책로를 돌아보며 을숙도 표지석과 철새 도래지 표지석을 지나서 낙동강 하구둑을 건넜다. 낙동강 서안로를 따라 걸으며 을숙도 이야기도 읽었고 어둠 속에 걷다보니 명지동 유래도 알게 되었다. 차도를 따라 걸으며 행복마을에 도착 해안가로 들어서니 강 건너 산 뒤편에서는 붉은 햇살이 비쳤다. 산 뒤편 붉음이 옅어지면서 물 위에서 쉬고 있는 새들의 모습도 보았고 명지염전 이야기를 읽고 나니 점차 어두움이 사라지..

남파랑길 2021.02.13

백의종군길 3코스 ( 구운초등학교 ~ 갈산동 행정복지센터)

화서역에서 내려서 구운초등학교를 찾다가 다리를 건너면서 서호천변을 따라 북진하여 갈산동 행정복지센터로 가기로 했다. 다리공사로 길이 폐쇄되었기 징검다리를 건너 우회하여 본길을 따라 걸었다. 동남보건대 옆을 지나 산책로를 걸었고 수원갈비에 대한 이야기도 읽어보며 다리를 건너 노송지대로 들어섰다. 북수원 IC를 가로질러 옛길로 접어들어 괴목정교 표석을 지나니 양 옆으로 주차 차량이 많았다. 어린이 생태미술체험관을 지나니 많은 노송들이 군락을 이루었고 공원에는 정조대왕 동상 있었다. 프랑스군 참전 기념비를 지나며 수원을 벗어나 의왕시로 들어갔다. 경수대로를 따라 한참을 걸었다. 고천동주민센터 앞 골목길을 걸어서 오전초교를 지나고 의왕가구단지로 들어섰다. 모락산 정상을 바라보며 걸으니 안양시로 접어들어 목적지인..

백의종군길 2021.02.09

백의종군길 2 코스 (이수역 ~ 갈산동행정복지센터)

이수역을 뒤로하고 사당역을 향해서 걸었다. 방배2동 주민센터 입구를 지나고 사당역을 지나서 남태령 방향으로 직진이다. 남태령역을 뒤로하고 오르니 남태령 표지석이 반겼다. 남태령 옛길 표지석에 적힌 글을 읽어보았고 삼남길 시작점 알림 글도 읽은 다음 스탬프를 찍고 리본을 따라 길을 걸었다. 마을길을 걷다가 ‘자신의 성품을 절제하라’는 추사 김정희 글씨를 본 후 건널목을 건너 정부 과천청사 방향으로 걸었고 관악산 오르는 길을 따라 걷다가 과천현 객사인 ‘온온사’를 들렸고 과천 향교 입구와 경찰서를 지나니 정부과천청사역도 지났다. 정부청사 뒤로 보이는 관악산을 뒤로 하면서 인덕원을 향해서 한적한 도로변을 걸었다. 안양시로 접어들어 인덕원 사거리를 지나 골목길을 벗어나니 학의천이다. 징검다리를 건너며 물속을 보..

백의종군길 2021.02.09

수원화성 둘레길

친구들과 수원화성을 둘러보러 수원에 도착 팔달문을 보고는 팔달산으로 향했다. 화성은 유료 입장이나 수원시민과 경로자는 무료이다. 잔설이 남아있는 계단을 조심해 오르다 ‘고향의 봄’ 노래비를 지나고 남포루를 지나 계속 계단을 올라 서남 암문과 포사를 지나니 3.1 운동 기념탑과 대한독립 기념비가 있었다. 성벽에 접근하는 적을 감시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성벽을 돌출시킨 적대를 지나고 효원의 종을 지나 서장대로 향했다. 군사 지휘소인 서장대에 잠시 머물며 군사 훈련을 지켜본 정조가 군사들을 칭찬하고 화성 성곽에 대한 만족을 표현한 시도 읽은 다음 화서문을 향해 내려섰다. 화서문으로 가는 성벽길에는 서2치, 서포루 및 서북각루 등을 지났다. 화성의 서문을 돌아보고는 서북공심돈을 지나 성문을 이중으로 지키려고 건..

둘레길 2021.02.06

백의종군길 1-1코스 (을지로 3가역 ~ 이수역)

삭탈관직 당한 충무공 이순신이 선조의 명을 받고 1547년 4월 1일 옥에서 풀려나 한양을 출발 6월 4일 경남 합천 초계에서 권율 도원수를 만나러 간 길을 걸으려고 을지로 3가역 인근 생가터가 있는 명보아트홀로 갔다. 셀렉토커피 을지로점 구석에 있는 스탬프함을 찾아 인증을 하고 트랭글 코스북에서 백의종군길을 검색 1-1 코스 따라가기를 실행하니 인쇄골목길로 접어들었다. 골목길을 벗어나 을지로 3가 7번 출구를 지나고 2번 출구를 지난 다음 청계천 방향으로 향했다. 청계천 삼일빌딩을 지나 탑골공원 사거리에서 종각역 방향으로 이동하여 종로 YMCA 앞을 지나 SC제일은행 앞에 도착했다. 종각역 1번 출구 의금부터 인근 백의종군로 출발지 뒤편 스탬프를 찍고는 보신각을 바라보며 길을 건너 녹두장군 전봉준 동상..

백의종군길 2021.02.05

남파랑길 4코스 (감천사거리 ~ 신평동교차로)

오늘도 4시간여를 열심히 달려온 버스는 우리를 감천사거리에서 하차 시키고는 아무 일도 없다는 듯 급히 현장을 떠나고 우리들도 목적지를 향해서 출발했다. 감천 에너지파크를 뒤로하고 따뜻한 햇살을 받으며 도로를 따라 걷다가 감천항 중앙부두를 지났고 YK 5부두도 지나 두송반도 전망대 길로 접어들었다. 감천항 부두를 내려다보며 숲길를 걸었다. ‘다대팔경가’도 읽어보면서 산책로를 걷다가 앞에 펼쳐진 다대포항을 바라보면서 계단을 내려갔다. 이제는 몰운대를 향해 걸었다. 낫개 어민 대기실을 지나고 마을길을 벗어나 ‘다대 활어 재래시장’을 지나 다대포항을 감싸고돌면서 낙동정맥 최남단 몰운대(沒雲臺) 입구에 도착 산책로를 걸으면서 ‘화준구미’와 관련 이야기도 읽고 화손대로 올라가 다대포항만을 내려다보고는 출렁다리를 건..

남파랑길 2021.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