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둘레길 90

여주 여강길 6길 왕터쌀길 (세종대왕역사문화관 ⟹ 상백2리마을회관)

세종대왕역사문화관 ⟹ 세종산림욕장 ⟹ 입암 ⟹ 여주보 ⟹ 양화나루터 ⟹ 상백2리마을회관 (10.2 Km) 여주역에서 11:00 출발하는 964번 버스를 타고 세종대왕릉 입구 정류장에서 하차 여주 관광 순환버스 승차장으로 이동 세종대왕릉 입구를 출발 세종산림욕장으로 향했다. 세종산림욕장 입구로 올라가 화려한 꽃들이 반기는 산길을 지나 제방으로 내려갔고 자전거도로를 따라 걷기 시작했다. 옛 여주 8경 중 하나인 입암을 지나 조팝나무꽃과 개나리꽃이 활짝 핀 제방을 걷다가 강변길로 내려섰고 여주보를 지나서 한동안 걸었다. 내안교를 건너서도 뜨거운 태양 아래 강변 산책로를 걷다가 제방길로 올라가 중간 스탬프를 찍으며 양화나루터를 지나고 강변칠우 사건 현장도 지나서 양화천교를 건너 청보리밭으로 향했으나 계절이 이른..

경기둘레길 2023.04.05

여주 여강길 3코스 바위늪구비길 (강천마을 ⟹ 신륵사)

강천마을 ⟹ 남한강교 ⟹ 대순진리회 본부 ⟹ 목아박물관 ⟹ 금당교 ⟹ 신륵사 (13.7 Km) 강천마을 정류장을 뒤로하고 강변을 따라 핀 봄꽃 구경하며 산 속 오솔길을 올라가 강을 내려다보며 산길을 벗어나 자전거도로를 걷다가 강천섬 진입로를 지나 남한강교를 향하여 자전거도로를 걸었다. 영동고속도로(남한강교) 아래를 지나고 대순진리회로 향하는 이정표를 지나 오감도토리마을 삼거리에서 중간 스탬프를 찍고 돌담길을 돌아 올라가 대순진리회 본부를 지났다. 간매교를 건넜고 마을 안길을 지나 오래 전에 방문하였던 목아박물관 앞을 지났다. 신륵사까지 5.4Km 남한강 뚝방을 걸었고 금당교를 향해 걷다가 가정리 입구 사거리에서 금당천을 건너서 오학동에 진입하였고 금당천 제방을 걷다가 산속 오솔길을 거닐었고 신륵로를 걸으..

경기둘레길 2023.03.29

여주 여강길 3-1코스 강천섬길 (강천마을 ⟹ 강천마을)

강천마을 ⟹ 여주시힐링센터 ⟹ 강천마을 (5.5 Km) 여주역에서 11:10 강천리행 991번 버스를 타고 40여분을 달려 강천마을 종점에서 하차 강천교를 건너 강천섬으로 향했다. 강천리교를 건너 안내문을 읽고 목책을 따라 정방향으로 걸었으며 자전거만 쉬는 쉼터를 지나 수변산책로로 향했으며 강천섬 힐링센터 사거리에서 중간 스탬프를 찍고 산책로를 걸었다. 추가 산책로 걷기는 포기하고 돌아오는 길에 수상스키로 강을 질주하는 모습을 보면서 산책로를 걸었다. 여주시힐링센터를 지나고 강천리교를 건너 나오는데 힐링하러 오는 사람들이 많았다.

경기둘레길 2023.03.29

여주 여강길 4코스 5일장터길 (신륵사 ⟹ 세종대왕릉역)

신륵사 ⟹ 여주한글시장 ⟹ 대로사 ⟹ 세종산림욕장 ⟹ 세종대왕릉 ⟹ 번도5리마을 ⟹ 세종대왕릉역 (13.0 Km) 여강길을 걸으려고 경강선을 타고 여주역에서 하차 역 앞 관광안내센터에서 스탬프 북과 지도를 받아 11:10 신륵사행 버스를 타고 신륵사에서 하차 매표소 입구까지 이동 스탬프 북에 출발 날인을 하고 남한강을 따라 걸으며 황포돛배 선착장을 지나고 여주도서관을 지나 연인교을 걸어서 남한강을 건넜다. 한강 물결을 보며 여주시청으로 걸었고 청심로를 횡단 여주 5일장으로 향했으며 여주한글시장 중심을 지났고 여주농협 사거리에서 우측에 있는 청심로로 향했으며 우암 송시열 사당인 ‘대로사’를 잠시 둘러보고는 세종산림욕장으로 가려고 남한강변을 한동안 걸었다. 개나리꽃이 만발한 자전거길도 걸었고 하리보도교를 건..

경기둘레길 2023.03.27

의주길 제5길 임진나루길

선유삼거리 ⟹ 화석동경로당 ⟹ 화석정 ⟹ 장산 전망대 ⟹ 장산1리 마을회관 ⟹ 마정3리 마을회관 ⟹ 임진강역 ⟹ 임진각 (13.8Km) 임진나루길을 걸으려고 문산역에서 11번 버스를 타고 선유리시장 정류장에서 하차 선유(독서)삼거리로 향했다. 실개천변을 따라 올라가다가 78번 지방도로(장승배기로)을 걸으며 이세화 선생 묘 입구를 지나 화석정길로 들어섰다. 화석정으로 향한 마을 안길을 걸었으며 화석동경로당을 지나서 평화누리길 걸으며 걸었던 눈에 익은 계단을 올라가 화석정에 도착했다. 화석정에 올라가 얼음 덮인 임진강을 굽어보았고 이이선생의 시비도 둘러보았다. 걸었던 평화누리길을 역방향으로 걸어가다가 임진리(나루터마을)을 통과하여 장산 전망대 가는 길로 진입하니 비포장도로에 얼었던 길이 녹아 걷기에 불편했으..

경기둘레길 2023.02.17

평해길 제10길 솔치길

경기도 경계 ⟹ 삼산2리 마을회관 ⟹ 삼산3리 도소리 정류장 ⟹ 쌍학1리 마을회관 ⟹ 양평역 (8.1Km)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워 승용차로 경기도 경계까지 이동하여 경기옛길 솔치길을 삼산2리(솔치)에서 양동역 방향으로 걷기 시작했다. 임도로 들어서니 햇볕이 드는 곳을 제외하고 일부 구간에는 눈이 있었으며 역방향으로 걸어 내려가니 오르막길을 오르기 보다는 힘이 적게 들었고 장령림 명품숲 안내판을 지나 잠시 오르막을 올라갔다가 이내 내리막길을 걸었으며 임도를 벗어나 당산 안내문 옆 솔치길 스템프함을 지났다. 삼산역길을 걸으며 중앙선 철길 아래를 지나면서 경기둘레길 리본을 볼 수 있었다. 삼산2리 마을 알림석 앞에서 배내교를 건너 윗배내길을 걸었으며 삼산2리 마을회관을 지나서 단석천을 향해 걸으며 광주원주고속..

경기둘레길 2023.02.01

의주길 제4길 파주고을길

신산5리 광탄어린이집 ⟹ 부곡3리 경로당 ⟹ 도미솔 식품 ⟹ 부곡2리 윗가마을 ⟹ 파주읍행정복센터 ⟹ 파주향교 ⟹ 봉서산 ⟹ 수억중고 앞 교차로 ⟹ 선유삼거리 (12.7Km) 신산5리 (광탄어린이집 앞)에서 하차 어린이집 담장을 따라 걸으며 눈 덮인 골목길을 걸어 광탄천변을 걸었다. 바람은 차갑고 추웠다. 밭두렁 사이 길을 걸으며 부곡교를 건너 여울길을 걸어서 부곡3리 경로당을 지나고 도로 공사 중인 구간을 지나서 도미솔 식품 앞 언덕을 넘어가니 공장지대가 펼쳐졌다. 부곡2리 윗가마을 입구를 지나고 긴골말 입구도 지나 언덕을 넘어가니 파주읍 마을이 보였다. 술이훌로를 걸으며 파주읍행정복센터를 지나 골목길을 걸으며 파주초교 방향으로 걸었고 파주향교로 향하는 사거리를 가로질러 파주초등학교 앞을 지나 봉서산 ..

경기둘레길 2023.01.19

의주길 제3길 쌍미륵길(혜음원길)

파주 혜음원지 ⟹ 용미3리 마을회관 ⟹ 용암사 마애이불 입상 ⟹ 용미1리 마을회관 ⟹ 텃골공릉호수공원 ⟹ 윤관 장군 묘역 ⟹ 신산5리 광탄어린이집 (16.6Km) 용미주유소 앞에서 하차 혜음원으로 가다가 도로에서 졸고 있는 참새를 밭으로 옮겨놓고 안타깝지만 발걸음을 재촉해야 했다. 혜음원지 입구에 도착 산책로를 따라 이동하며 혜음원지 형태를 살펴보았고 둘레길 이정표 따라 산으로 올라가 눈 덮인 오솔길을 조심해서 내려가야 했다. 용미리 마애이블 이정표를 보며 진지로와 세류로를 걸었고 고산천변을 걷다 용미3교를 건너 혜음로를 횡단하여 용미3 소공단으로 들어섰다. 용미3리 마을회관을 지나고 마을길을 벗어나 명봉산로를 내려갔고 용미5교차로 인근부터 사유지는 길이 폐쇄됐고 산길은 용암사 주차장이 철책으로 폐쇄되었..

경기둘레길 2023.01.04

의주길 제1길 벽제관길

벽제관지 ⟹ 고양동 종합복지회관 ⟹ 벽제천 ⟹ 송강 공릉천 공원지대 ⟹ 오목천 ⟹ 신원 덕명교비 ⟹ 삼송역 8번 출구 (8.7Km) 벽제관지를 떠나 고양동 종합복지회관 앞을 지났고 벽제천변을 따라 걸으면서 빈정교를 건너 걷다가 용복교를 건너 갔으며 대자교 아래로 내려가 하천변을 걸으며 벽제천 징검다리를 건넜다. 공릉천을 가로 지른 보도교를 건너 삼송역으로 향했으며 교외선 철교를 지나서 송강 공릉천 공원지대를 지났다. 오목천변을 걸었으며 신원 덕명교비 앞을 지나고 한우물숲길공원을 걷다가 숫돌고개 길을 지나서 삼송 벽화마을을 지나 삼송역에 도착했다.

경기둘레길 2023.01.03

의주길 제2길 고양관청길

파주 혜음원지 ⟹ 용미2 교차로 ⟹ 관청령 ⟹ 고읍마을회관 ⟹ 연산군 시대 금표 ⟹ 고양향교 ⟹ 벽제관지 (9.1Km) 구파발역에서 774번 버스를 타고 40여분을 이동 용미리주유소 정류장에서 하차 혜음원지로 향했고 고려시대에 건립한 국립 숙박시설 ‘혜음원터’를 뒤로 하고 혜음로 골목길을 따라 걷다가 장지산로 길로 들어섰고 용미2 교차로를 횡단하여 서울 시립묘지 지역을 통과하였다. 묘지 위 능선(관청고개)을 넘어 가파른 산길을 내려가 고읍마을회관 앞을 지나 고골길을 걸으며 마을을 벗어났고 태종대왕 7남인 온령군 등 8인의 신주가 모셔져 있는 ‘혜덕사’을 지나고 ‘연산군 시대 금표비’를 지났다. 동헌로를 걸으며 중부대학교삼거리를 지나 고양향교를 향해 산길을 넘었으며 솔숲 길을 내려가 체험의 숲과 최영장군 ..

경기둘레길 2023.01.03